오늘의 묵상

  • 설교/오늘의묵상 >
  • 오늘의 묵상
20250917 오늘의 묵상
우성익 2025-09-17 추천 0 댓글 0 조회 1

《오늘의 묵상 / 역대하 3장 1절~17절》

1. 솔로몬이 예루살렘 모리아 산에 여호와의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니 그 곳은 전에 여호와께서 그의 아버지 다윗에게 나타나신 곳이요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 마당에 다윗이 정한 곳이라
2. 솔로몬이 왕위에 오른 지 넷째 해 둘째 달 둘째 날 건축을 시작하였더라
3. 솔로몬이 하나님의 전을 위하여 놓은 지대는 이러하니 옛날에 쓰던 자로 길이가 육십 규빗이요 너비가 이십 규빗이며
4. 그 성전 앞에 있는 낭실의 길이가 성전의 너비와 같이 이십 규빗이요 높이가 백이십 규빗이니 안에는 순금으로 입혔으며
5. 그 대전 천장은 잣나무로 만들고 또 순금으로 입히고 그 위에 종려나무와 사슬 형상을 새겼고
6. 또 보석으로 성전을 꾸며 화려하게 하였으니 그 금은 바르와임 금이며
7. 또 금으로 성전과 그 들보와 문지방과 벽과 문짝에 입히고 벽에 그룹들을 아로새겼더라
8. 또 .지성소를 지었으니 성전 넓이대로 길이가 이십 규빗이요 너비도 이십 규빗이라 순금 육백 달란트로 입혔으니
9. 못 무게가 금 오십 세겔이요 다락들도 금으로 입혔더라
10. 지성소 안에 두 그룹의 형상을 새겨 만들어 금으로 입혔으니
11. 두 그룹의 날개 길이가 모두 이십 규빗이라 왼쪽 그룹의 한 날개는 다섯 규빗이니 성전 벽에 닿았고 그 다른 날개도 다섯 규빗이니 오른쪽 그룹의 날개에 닿았으며
12. 오른쪽 그룹의 한 날개도 다섯 규빗이니 성전 벽에 닿았고 그 다른 날개도 다섯 규빗이니 왼쪽 그룹의 날개에 닿았으며
13. 이 두 그룹이 편 날개가 모두 이십 규빗이라 그 얼굴을 내전으로 향하여 서 있으며
14. 청색 자색 홍색 실과 고운 베로 휘장문을 짓고 그 위에 그룹의 형상을 수놓았더라
15. 성전 앞에 기둥 둘을 만들었으니 높이가 삼십오 규빗이요 각 기둥 꼭대기의 머리가 다섯 규빗이라
16. 성소 같이 사슬을 만들어 그 기둥 머리에 두르고 석류 백 개를 만들어 사슬에 달았으며
17. 그 두 기둥을 성전 앞에 세웠으니 왼쪽에 하나요 오른쪽에 하나라 오른쪽 것은 야긴이라 부르고 왼쪽 것은 보아스라 불렀더라

Q.T
세계 문학사에 큰 영향을 끼쳤던 독일의 대표적 문학가 괴테는 그의 책 파우스트에서 “눈물에 젖은 빵을 먹어본 자만이 인생의 깊이를 안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이 말은 인생의 참된 깊이는 기쁨과 성공만이 아니라, 눈물과 고통, 회한과 회개를 통과할 때 비로소 드러난다는 뜻입니다. 인생의 깊이가 눈물과 회개에서 드러나듯, 오늘 솔로몬의 성전은 인간의 성공과 영광이 아니라, 순종의 눈물과 회개의 눈물이 스며있는, 모리아 산에 세워졌습니다.

모리아 산은 아브라함이 독자 이삭을 번제로 드리려 했던 자리(창 22:2)로, 믿음을 보이기 위해 순종의 눈물을 흘렀던 곳입니다. 동시에 다윗이 교만으로 범죄한 후 전염병 심판이 멈추고 회개의 제단을 쌓았던 곳이었습니다. 괴테의 말처럼 눈물 젖은 빵을 먹어본 자만이 인생의 깊이를 알듯, 하나님은 바로 그 눈물의 자리 위에 당신의 집을 세우셨습니다. 이것이 복음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완벽한 의가 아니라, 믿음과 회개의 자리 위에 성전을 세우십니다.

솔로몬은 성전의 구조와 치수를 하나님의 지시대로 정확히 따랐습니다. 성전 내부는 순금으로 입히고, 보석으로 장식하며, 그룹 천사와 종려나무 형상을 새겼습니다. 그리고 지성소 안에는 두 그룹이 언약궤를 감싸고, 그 위에는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속죄소가 놓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성전 앞에는 두 기둥이 세워졌습니다. 오른쪽은 야긴(그가 세우신다), 왼쪽은 보아스(그에게 능력이 있다)라 불렸습니다

성전에 들어가는 모든 사람은 이 두 기둥 사이를 지나며 “하나님이 세우신다. 하나님께 능력이 있다.” 고백했습니다. 오늘 우리의 가정, 일터,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내 힘과 지혜로 세우려 애쓰지 말고, 두 기둥 사이에서 “주님, 주님께서 세워주십시오. 주님께 능력이 있습니다.”라는 믿음의 고백을 드려야 합니다. 하나님은 이 고백 위에 세워진 우리의 인생을 '야긴'과 '보아스'로 붙들어 결코 흔들리지 않게 하실 것입니다.

원하기는, 오늘 이 말씀을 붙들고 살아가는 저와 여러분 모두가, 눈물의 자리에서 다시 일어나 하나님의 은혜로 세워지고, 하나님의 능력으로 흔들리지 않는 믿음의 사람, 중앙의 성도들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구분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다음글 20250916 오늘의 묵상 우성익 2025.09.16 0 3

25325 강원 평창군 진부면 진부새싹길 42 (하진부리, 진부중앙교회) 206-13 TEL : 033-335-7266 지도보기

Copyright © 진부중앙교회. All Rights reserved. MADE BY ONMAM.COM

  • Today20
  • Total74,848
  • rss
  • 모바일웹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