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오늘의 묵상
우성익
2025-09-01
추천 0
댓글 0
조회 19
《오늘의 묵상 / 데살로니가전서 1장 1절~10절》
1. 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는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 편지하노니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2. 우리가 너희 모두로 말미암아 항상 하나님께 감사하며 기도할 때에 너희를 기억함은
3. 너희의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소망의 인내를 우리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끊임없이 기억함이니
4.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받은 형제들아 너희를 택하심을 아노라
5. 이는 우리 복음이 너희에게 말로만 이른 것이 아니라 또한 능력과 성령과 큰 확신으로 된 것임이라 우리가 너희 가운데서 너희를 위하여 어떤 사람이 된 것은 너희가 아는 바와 같으니라
6. 또 너희는 많은 환난 가운데서 성령의 기쁨으로 말씀을 받아 우리와 주를 본받은 자가 되었으니
7. 그러므로 너희가 마게도냐와 아가야에 있는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었느니라
8. 주의 말씀이 너희에게로부터 마게도냐와 아가야에만 들릴 뿐 아니라 하나님을 향하는 너희 믿음의 소문이 각처에 퍼졌으므로 우리는 아무 말도 할 것이 없노라
9. 그들이 우리에 대하여 스스로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너희 가운데에 들어갔는지와 너희가 어떻게 우상을 버리고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살아 계시고 참되신 하나님을 섬기는지와
10. 또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그의 아들이 하늘로부터 강림하실 것을 너희가 어떻게 기다리는지를 말하니 이는 장래의 노하심에서 우리를 건지시는 예수시니라
Q.T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의 수적천석(水滴穿石)이란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작은 힘이라도 끊임없이 지속될 때 놀라운 변화를 만든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의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의 영향력이 이와 같았습니다.
데살로니가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 고대 그리스의 신, 제우스, 아폴로 같은 그리스 신들과 로마 황제를 숭배하는 문화가 강했던 곳이었습니다. 이곳에 사도바울이 복음을 전했습니다. 그러나 유대인들의 격렬한 반대와 박해로 인해 오래 머물지 못하고, 성도들을 남겨둔 채 3주만에 떠나야 했습니다.
바울은 충분히 돌보지 못한 교회가 늘 마음에 걸렸고, 그들의 믿음이 흔들리지 않았을까 염려했습니다. 그런데 디모데가 전해 준 소식은 놀라웠습니다. 데살로니가 교회는 믿음의 역사, 사랑의 수고, 소망의 인내로 변화를 이끌었습니다. 그들이 보였던 행동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삶 속에서 말씀을 살아내려는 몸부림이었습니다.
말씀을 삶으로 살아내려는 그들의 간절함은 복음을 전했던 바울을 넘어 마케도니아와 아가야의 모든 교회에 본이 되는 자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누군가를 본받고, 누군가에게 본이 되는 삶”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선교입니다. 데살로니가 교회의 성도들과 같이 우리의 삶 가운데 믿음의 행동, 사랑의 헌신, 소망의 인내가 일상 속에서 반복될 때, 그것은 물방울처럼 사람들의 굳은 마음을 뚫고 변화 시킬 것입니다.
9월을 시작하는 첫 날입니다. 나의 말과 행동이 누군가에게 복음의 거울이 되도록 살아가시기 바랍니다. 주님은 본받고 본이 되는 삶을 사는 이들에게 하나님은 영적 권위와 영향력을 더하게 하실 것입니다. 말씀으로 살아내려는 나의 삶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살아 있는 간증이 되고, 하나님께서 그들을 통해 복음의 지경을 넓힐 것입니다.
오늘 나는 누군가에게 본이 되는 삶을 살고 있는가?
내 말과 행동은 복음의 향기를 품고 있는가?
데살로니가 교회와 성도들처럼 말씀을 살아내고 있는가?
이 질문을 마음에 품고, 9월을 살아가는 믿음의 사람, 중앙의 성도들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2025 우성익. 본 콘텐츠는 진부중앙교회 ‘오늘의 묵상’에 게시된 저작물로,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비영리적 인용을 제외한 모든 복제, 배포, 전재, 2차 편집을 금하며, 사용 시 반드시 출처를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댓글0개